2025년 4월 1주차 기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매매가격은 -0.02%, 전세가격은 0.00%로 나타났습니다. 전주 대비 매매가는 하락폭이 확대됐고, 전세가는 상승세를 멈추며 보합세로 전환되었습니다. 특히 지방을 중심으로 하락 흐름이 본격화되며, 주택시장 전반에 불안정한 신호가 포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단기적인 가격 조정일까요? 아니면 본격적인 침체의 시작일까요? 이번 주간 통계를 통해 서울, 수도권, 지방별로 아파트 시장의 세부 흐름을 정리하고 향후 전망까지 함께 분석해보겠습니다.
전국 아파트 시장, 다시 약세로 전환
2025년 4월 1주차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0.01%에서 -0.02%로 하락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전세가격은 전주 +0.02%에서 금주 0.00%로 상승세가 멈췄습니다.
- 수도권: 매매 +0.01%, 전세 +0.02% (상승폭 둔화)
- 서울: 매매 +0.08%, 전세 +0.02%
- 지방: 매매 -0.05%, 전세 -0.02% (하락 지속)
요약하자면,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서울은 여전히 강세를 보였지만, 지방은 매매·전세 모두 동반 하락세를 보이며 시장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세 유지하지만 탄력 둔화
서울은 전주 +0.11%에서 금주 +0.08%로 상승폭이 축소되었습니다. 여전히 재건축 기대감이 반영되며 강남·성동·마포 등이 견조한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 강북권: 성동(+0.20%), 마포(+0.17%), 용산(+0.13%)
- 강남권: 강남(+0.20%), 송파(+0.16%), 서초(+0.11%)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매수자들의 관망세가 확산되며 거래량이 줄고, 일부 지역에선 보합 흐름도 감지되고 있습니다.
지방 아파트 매매가, 하락 고착화 양상
지방은 -0.05%로 전주 대비 하락폭이 커졌습니다. 광역시는 물론 8개 도 지역까지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광역시: 광주(-0.10%), 대구(-0.09%), 부산(-0.06%)
- 세종: 매물 누적 → -0.07%
- 8개 도: 경북(-0.07%), 충남(-0.06%), 전남(-0.06%) 등
특히 경산(-0.19%), 포항 남구(-0.17%)는 입주물량과 지역 수요 위축으로 하락폭이 두드러졌습니다.
전세가격도 전반적 약세, 지방은 하락 본격화
서울 전세가는 +0.02%로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전주(+0.05%) 대비 상승폭이 둔화되었습니다. 강북·강남권 모두 혼조세를 보이며 불균형한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 강북권: 용산(+0.05%), 마포(+0.04%) / 은평(-0.02%), 성북(-0.01%)
- 강남권: 송파(+0.10%), 강동(+0.07%) / 서초(-0.08%), 강남(-0.01%)
지방은 본격적인 전세 하락세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대구(-0.05%), 세종(-0.08%), 전북(-0.06%) 등 대부분 지역에서 전세가격이 하락하고 있으며, 익산(-0.20%), 군산(-0.13%) 등 낙폭이 큰 지역도 등장했습니다.
시장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인들
- 금리 인하 기대 약화: 시장금리 하향 조정이 지연되며 매수심리 위축
- 입주물량 증가: 지방 중심으로 전세공급 과잉 부담
- 정책 기대감: 수도권 재건축·금융 규제 완화 기대는 있으나 제한적 효과
결국 전반적인 수요 위축과 지역 간 양극화가 맞물리며 아파트 시장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앞으로의 전망과 시사점
- 수도권: 정책 기대감이 남아 있으나 금리·입주물량 부담으로 제한적 상승에 그칠 가능성
- 지방: 역전세, 공실 리스크 심화 가능성 → 공급 조절 및 수요 창출 필요
- 정책 과제: 서울 중심 완화 정책만으로는 효과 제한 → 지역 맞춤형 주거정책 병행해야 함
특히 하반기부터는 금리와 경기 흐름이 더 큰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마무리 요약
2025년 4월 1주차 기준 아파트 시장은 전체적으로 매매와 전세 모두 둔화세에 접어들었습니다. 서울은 재건축 중심으로 버티고 있지만, 지방은 하락이 본격화되고 있어 향후 지역 간 격차가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정책의 정교함과 시장심리 회복을 위한 다각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한 줄 요약: 전국 아파트 시장, 재건축 기대 남은 서울만 강세… 지방은 매매·전세 동반 약세 진입
한 줄 조언: 지금은 '기다림의 시간'… 하반기 금리·공급 변수 주시하며 시장 흐름을 냉정히 지켜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동산동향 #아파트가격 #전세시장 #재건축 #지방부동산 #서울아파트 #부동산전망 #입주물량 #역전세위험 #머니톡톡
'투자 인사이트 > 국내외 부동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전남의 미래, 교통이 이끈다?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 핵심은 (0) | 2025.04.13 |
---|---|
인플레이션, 상업용 부동산(CRE)에 어떤 충격을 줄까? (0) | 2025.04.12 |
지방소멸 해법은 외국인 정착에 있다? 지역사회에 뿌리내리기 위한 조건은? (0) | 2025.04.07 |
2025년 3월 5주차 아파트 시장, 어디가 올랐고 어디가 내렸을까? (3) | 2025.04.07 |
2024년 4분기 건설공사 계약액, 공공주택이 시장을 견인했을까? (1)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