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톡톡 인사이트

초보도 이해하는 친절한 금융 & 경제 정보

공신력 있는 자료와 초보 맞춤 해설로 매일 업데이트!

경제 인사이트/글로벌 경제 브리핑

2025년, 미국은 경기침체를 피할 수 있을까?

머니톡톡. 2025. 4. 17. 03:00

2025년, 미국은 경기침체를 피할 수 있을까?

2025년 4월, Goldman Sachs는 Jan Hatzius 수석 이코노미스트와 Dominic Wilson 글로벌 전략가의 대담을 통해 “트럼프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를 침체로 몰고 갈 수 있다”는 강한 경고를 내놨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초보 투자자도 이해하기 쉬운 구조로 이 리포트를 해석하고, 실전 투자 시사점까지 연결해드릴게요.

1. 이슈 요약 – 관세 발표 충격

2025년 4월 초, 트럼프 행정부는 일부 수입품에 대해 최대 25% 고율 관세를 발표하며 시장을 충격에 빠뜨렸습니다. Goldman Sachs는 이를 “경제 시계방향을 바꾸는 충격”으로 해석합니다.

2. 경제 분석 – 침체 경로 3가지

  • 1) 소득 감소: 수입물가 상승 → 소비자 실질 소득 감소
  • 2) 금융환경 위축: 주가 하락, 금리 상승, 신용 스프레드 확대
  • 3) 정책 불확실성: 기업 설비투자·고용 유보

→ 기존의 “경기 회복 전망”은 이제 “관세 충격이 우세한 시나리오”로 바뀌었습니다.

3. 수치로 본 경기 전망

  • 미국 GDP 성장률 전망: 2025년 Q4 +0.5% (거의 정체)
  • 경기침체 확률: 45~50%
  • Core PCE 인플레이션: 3.5% 이상으로 상향 가능성

→ 고성장 종료 + 물가 재상승 + 투자심리 위축 = 삼중고

4. 연준의 대응 – 긴축 완화 딜레마

  • 6~9월 기준금리 0.75%p 인하 (Goldman 전망)
  • 물가 압력이 강할 경우 인하 보류 가능성 존재
  • 침체 발생 시 최대 2.0%p 인하 카드도 검토

불확실한 연준이 시장을 더 불안하게 만들고 있음

5. 시장 반응 – 전통적 흐름이 깨진 이유

  • 채권 금리 상승, 달러 약세, 주식 급락 → 이례적 흐름
  • 미국채 매수 약화 + 국채 입찰 수요 감소 → 유동성 불안
  • 미국 자산 과잉보유에 대한 글로벌 경고

→ “전통적 안전자산이 흔들리는 시대” 도래

6. 투자자 전략 인사이트

  • ✅ 침체 확률 50%: 시장은 아직 반영 부족
  • ✅ ‘국채=헤지’ 공식 무력화: 금·엔화·프랑이 대체 안전자산 부상
  • ✅ 헤지 비용 급등: 옵션, 금, 외환분산 전략은 선제 대응 필요

7. 중국과 글로벌 경제 영향

  • 미국 → 중국 관세율 145%
  • 중국 → 미국 보복 관세 125%
  • 중국 성장률: 2025년 4.0% → 2026년 3.5%로 하향
  • 전 세계 25개국 중 21개국이 성장률 전망 하향

→ 무역갈등은 제로섬 아닌 음의 합게임. 모두 손해 보는 구조

한 줄 요약: 트럼프발 관세 충격은 미국 경제를 뒤흔들며 침체 가능성을 절반 이상까지 높였고, 시장은 이를 아직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한 줄 조언: 경기와 금리만 보지 말고, ‘정책 불확실성’ 자체를 리스크 자산의 핵심 변수로 인식해야 합니다.

#관세충격 #미국경기침체 #GoldmanSachs #연준금리전망 #시장불확실성 #대체안전자산 #미국채위험 #2025경제전망 #투자전략 #머니톡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