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머니톡톡 인사이트
검색하기

블로그 홈

머니톡톡 인사이트

moneytoktalk.tistory.com/m

초보 투자자를 위한 금융·경제 정보를 공신력 있게 쉽게 풀어주는 인사이트 블로그

구독자
2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머니톡톡 인사이트 | 카테고리별 콘텐⋯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2025년 가장 위험한 건 ‘정보 부족’이다 2025년 가장 위험한 건 ‘정보 부족’이다2025년 4월, 세인트루이스 연준의 FRED 블로그는 “Measuring Uncertainty”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현재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서 가장 위험한 것은 단순한 하락이 아닌 ‘예측할 수 없음’, 즉 불확실성 자체라고 경고했습니다.1. 왜 불확실성을 측정해야 할까?사람은 ‘앞날이 불안할수록’ 소비도 줄이고, 투자도 미루게 됩니다. 기업은 의사결정을 보류하고, 가계는 지갑을 닫죠. 그래서 정부와 투자자는 ‘불확실성’을 수치로 정량화하려는 노력을 해왔습니다.2. 주요 지표① – VIX (공포지수)VIX: S&P500 옵션의 변동성에서 파생된 지수의미: 향후 30일 시장의 불안심리를 수치화2025년 4월: 팬데믹 당시 수준 근접 → 관세·금리 불확실성 .. 공감수 1 댓글수 0 2025. 4. 19.
  • 연방정부 지출은 늘었지만, 직원은 늘지 않았다 연방정부 지출은 늘었지만, 직원은 늘지 않았다2025년 4월, 세인트루이스 연준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연방 예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지만 정작 연방정부 고용은 정체되거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산과 고용의 괴리, 그리고 지역별 고용 흐름까지 분석하며 초보 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는 실전 전략을 함께 정리해드립니다.1. 연방 지출 vs 고용 – 커진 건 예산, 줄어든 건 인력2024년 기준 연방 적자: 1.8조 달러 (2001년엔 흑자였음)연방공무원 비중: 1989년 2.5% → 2024년 1.8%결론: 지출 증가가 고용 때문이 아님. 복지·이자비용 중심 구조2. 지역 분포 – 연방공무원은 전국 각지에 있다전체 연방직원 약 300만 명 중 워싱턴 DC는 6%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캘리포니아,.. 공감수 1 댓글수 0 2025. 4. 19.
  • 2025년 국내은행 연체율 상승,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는 주의해야 할까? 서론은행 대출 연체율이 오르고 있다는 뉴스를 자주 보셨을 거예요.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1월 말 기준 연체율 자료를 보면,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 중심으로 연체가 늘어난 상황이에요.이번 글에서 연체율 현황과 이유, 초보 투자자분들이 알아야 할 부분까지 쉽고 자세히 알려드릴게요.1. 전체 연체율, 왜 올랐을까요?2025년 1월 말 국내은행 연체율은 0.53%로 전월보다 0.09%p 상승했어요.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도 0.08%p 높아졌어요.특히, 신규 연체가 3.2조원으로 전월보다 0.7조원 늘어났고요.정리된 연체채권은 오히려 크게 줄어들면서, 전체 연체율이 상승했어요.2. 부문별 연체율 살펴보기기업대출: 0.61% (중소기업 연체율 0.77%)대기업대출: 0.05%로 낮지만 소폭 상승가계대출: 0.. 공감수 3 댓글수 1 2025. 4. 2.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