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톡톡 인사이트

초보도 이해하는 친절한 금융 & 경제 정보

공신력 있는 자료와 초보 맞춤 해설로 매일 업데이트!

금융 & 생활 재테크/생활 밀착형 금융정보

일본의 관광정책, 왜 세계적 롤모델이 되었을까?

머니톡톡. 2025. 4. 13. 00:00

관광은 단순한 여가산업을 넘어, 국가 경제와 지역 균형발전의 핵심 축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은 지난 20여 년간 관광을 하나의 ‘성장전략’으로 정립하고, 제도화 → 성장화 → 지속가능성이라는 세 단계의 변화를 거쳐 전략을 고도화해 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KIEP 기초자료 25-02(2025년 4월 10일 발행)을 바탕으로 2000년대 이후 일본 관광정책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을 분석합니다. 한국의 지역관광 전략 및 질적 성장 방향 설정에도 참고가 될 수 있는 내용이니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1. 2000년대: 관광입국 선언과 법적 기반 정비

🟡 관광입국 추진 기본법(2006) 제정은 일본 관광정책의 제도화를 상징합니다.

  • 2003년: ‘관광입국’ 개념 최초 도입
  • 2006년: 관광입국 추진 기본법 제정, 관광청 신설 기반 마련
  • 지방 활성화를 위해 체험형 관광(‘뉴 투어리즘’), 관광카리스마 제도, 역사도시법 등을 추진

핵심 포인트: 운수·건설·국토청 통합 → 관광청 발족(2008) → 중앙·지방 연계 거버넌스 강화

2. 2010년대: 아베노믹스와 관광 대도약기

🔵 아베 정부는 관광을 ‘경제 성장 동력’으로 공식 선언했습니다.

  • 엔저 유도, 비자 완화, 면세확대, LCC 확대 등 전방위 규제완화
  • 2016년 「내일의 일본을 지탱하는 관광비전」에서 외래객 4,000만 명 목표 제시
  • 일본판 DMO 제도, 농촌숙박 진흥, 공항 MICE 인프라 확대

성과: 2010년대 말 외래객 수 3,000만 명 돌파, 소비액 5조 엔 이상 기록

하지만 도쿄·오사카·교토 중심의 편중 + 오버투어리즘이 새로운 문제로 부각되었습니다.

3. 2020년대: 질적 전환과 지속가능성의 시대로

🟢 팬데믹 이후, 일본은 양적 팽창에서 벗어나 질적 성장에 정책 초점을 전환했습니다.

  • 2023년 「제4차 관광입국 추진 기본계획」 수립
  • 방문객 수 목표 삭제, 대신 1인당 소비액 목표(15.9만 → 20만 엔) 설정
  • 지방 체류일 수 확대, 고부가가치 체험형 관광 콘텐츠 중심으로 개편
  • 혼잡분산·관광세 인상(최대 5,000엔) 포함한 오버투어리즘 대응 패키지 본격 시행

정책 키워드: 지속가능성, 지역균형, 체험형 콘텐츠, 디지털 플랫폼

4. 일본 관광정책의 흐름 요약

시기 정책 방향 핵심 내용
2000년대 제도 기반 정비 관광입국 선언, 법제화, 지방체험관광 시범
2010년대 양적 성장 비자·환율·면세 확대, DMO 제도 도입
2020년대 질적 전환 소비액 목표화, 체험형 콘텐츠 확대, 오버투어리즘 대응

5. 정책적 시사점: 한국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일본은 제도적 정비 → 경제화 → 지속가능성이라는 ‘3단계 진화’를 통해 관광정책을 전략산업화했습니다.

🔍 한국에 시사하는 핵심 포인트:

  • 거버넌스: 중앙·지자체·민간의 연계 거버넌스 체계 구축 필요
  • 지표 설정: 인원 수가 아닌 ‘1인당 소비액’, ‘지방 체류일 수’ 중심의 KPI 전환
  • 콘텐츠 중심 전략: 단순 관광지 → 지역 유산, 농촌체험, 모험관광 등 고부가 콘텐츠 강화
  • 정책 지속성: 10년 단위의 중장기 계획 + 법제 기반 구축이 중요

결국 관광은 정책 ‘유행’이 아니라, 산업 전략과 지역 재생의 핵심 수단임을 보여줍니다.

맺음말

일본은 관광정책을 국가 차원의 성장축으로 전환한 대표 사례입니다. 그 핵심은 ‘법제 기반 + 지속가능성 + 콘텐츠 전략’의 조합입니다.

한국 역시 수치 경쟁에서 벗어나, 질적 목표와 정책적 일관성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관광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 줄 요약: 일본은 ‘관광법제화 + 콘텐츠 전략’으로 성공했다. 이제 한국도 질적 목표로 전환할 시기다.

한 줄 조언: 관광도 데이터와 전략이 필요합니다. 수치보다 구조, 콘텐츠보다 신뢰가 핵심입니다.

#일본관광정책 #지속가능관광 #DMO제도 #KIEP보고서 #지역균형관광 #뉴투어리즘 #고부가관광 #오버투어리즘대응 #관광입국 #머니톡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