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머니톡톡 인사이트
검색하기

블로그 홈

머니톡톡 인사이트

moneytoktalk.tistory.com/m

초보 투자자를 위한 금융·경제 정보를 공신력 있게 쉽게 풀어주는 인사이트 블로그

구독자
2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머니톡톡 인사이트 | 카테고리별 콘텐⋯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외국인은 왜 주식을 팔고 채권을 샀을까? 외국인은 왜 주식을 팔고 채권을 샀을까?2025년 3월, 외국인의 투자 전략이 확연히 달라졌습니다. 한국 주식은 1.6조 원 순매도하고, 채권은 무려 5.9조 원 순투자했습니다. 이 흐름은 단순한 월별 통계가 아닙니다. 글로벌 리스크에 대응하는 큰손들의 시그널입니다.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3월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은 주식시장에서 빠지고, 채권시장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특히 장기 채권을 중심으로 ‘금리 인하 전 대비 포지션’을 구축하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목차1. 총 요약: 주식은 매도, 채권은 매수 2. 주식: 아시아·중동 이탈, 미국·영국만 유입 3. 채권: 장기물 중심의 전략적 매수 4. 흐름 분석: 리스크 회피 모드 강화 5. 투자자 인사이트: 채권 ETF·..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4. 20.
  • 인프라는 지루하다고? 이제부터 진짜 시작이다 인프라는 지루하다고? 이제부터 진짜 시작이다2025년 4월, J.P. Morgan은 “이제 인프라 투자가 다시 오를 때다”라는 핵심 메시지를 담은 리서치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전통 인프라에서 벗어나, AI·에너지 전환이라는 신경제 트렌드와 연결된 인프라 투자 전략을 초보 투자자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목차과거의 인프라 vs. 지금의 인프라 지금이 기회인 4가지 이유 그동안 저평가된 이유는? AI 모델과 에너지 효율이 핵심 동력 투자자에게 주는 시사점과거의 인프라 vs. 지금의 인프라기존 인프라 자산이라 하면 도로, 공항, 발전소, 상하수도망이 전부였지만, 2025년 현재 인프라는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갖습니다.데이터센터: AI 시대의 필수 인프라전력망·배터리: 전기차, 태양광의 확산과.. 공감수 2 댓글수 0 2025. 4. 17.
  • AI 덕분에 태양광 산업이 다시 뜬다고? AI 덕분에 태양광 산업이 다시 뜬다고?AI가 발전할수록 전기가 더 필요해진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Bloomberg Intelligence는 2025년 기준, AI 기술 확산이 미국 내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를 폭증시킬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이 현상은 단순한 전력 문제를 넘어서, 태양광과 재생에너지 기업들에게 새로운 투자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목차AI가 전기 먹는 하마? 전력 수요 급증 전망 에너지 효율 기술로도 감당 못하는 속도 재생에너지, 특히 태양광의 수혜 가능성 투자 시사점: AI + 에너지의 교차점을 보라 머니톡톡 시선: 초보 투자자를 위한 핵심 포인트AI가 전기 먹는 하마? 전력 수요 급증 전망ChatGPT, Midjourney, Copilot 등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AI는 모두 데이터.. 공감수 1 댓글수 1 2025. 4. 16.
  • 채권, 왜 지금 다시 주목받을까? 채권, 왜 지금 다시 주목받을까?주식시장이 흔들리는 지금, 다시 ‘채권’이 조명을 받고 있습니다. Vanguard의 글로벌 채권 부문 대표 Sara Devereux는 2025년 4월 투자 코멘터리에서 “채권은 여전히 장기 포트폴리오의 중심”이라고 강조합니다. 지금 이 시점에서 왜 채권이 중요한지, 초보 투자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목차서론: 주식이 흔들릴 때, 채권은 중심축 채권의 3가지 핵심 가치 현재 시장 진단: 스태그플레이션 경로 Vanguard의 채권 대응 전략 실생활 투자 인사이트 머니톡톡의 개인 코멘트서론: 주식이 흔들릴 때, 채권은 중심축2025년 4월 9일, 예상보다 강력한 관세 발표가 글로벌 시장을 강타했습니다. 그 여파로 주식시장은 불안정했고, 투자자들은 방향성을 잃었습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4. 16.
  • 신흥국 국가채 스프레드, 경제 지표보다 ESG가 더 중요해진 이유는? 국채 스프레드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일까요? IMF의 최신 연구는 경제 성장률이나 부채비율보다도 Governance(지배구조), Social(사회), Environment(환경) 같은 비재무적 요소가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이번 포스팅은 IMF 워킹페이퍼 “Do ESG Considerations Matter for Emerging Market Sovereign Spreads?”(2025년 4월 발간)을 바탕으로 ESG 요소가 신흥국 국채 스프레드(신용 프리미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계량분석을 정리해드립니다.목차ESG와 신흥국 국채: 왜 중요한가? G > S > E 순서의 영향력, 수치는? 통계적으로도 유효한가? IMF가 제시한 정책 우선순위 정리: ESG는 윤리가 아니라 '..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4. 15.
  • AI가 세계 경제에 주는 기회와 불균형, IMF는 어떻게 경고했을까? AI는 세계 경제를 바꿀 혁신 기술이지만, 그 혜택은 결코 모두에게 공평하지 않습니다. IMF는 AI가 가져올 국가 간 격차 심화와 성장 기회의 불균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적 대응 방향을 제시했습니다.안녕하세요, 머니톡톡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IMF의 최신 보고서 「The Global Impact of AI: Mind the Gap」을 기반으로, AI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한 구조적 불균형에 대해 분석합니다.목차AI가 경제에 미치는 핵심 효과는? IMF의 분석 모델과 구조 AI 확산 시나리오별 성장률 차이는? AI가 물가, 환율,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 IMF가 제시한 정책 대응 방향 정리: AI는 기회인가, 격차의 시작인가?AI가 경제에 미치는 핵심 효과는?AI는 생산성을 끌어올리고 ..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4. 15.
  • 한국 반도체, 메모리 강국에서 시스템 반도체까지… 경쟁력은 계속될까? 2025년 4월 기준, 한국 반도체 산업은 여전히 세계 정상권에 머물러 있지만, 경쟁 구도는 급변하고 있습니다. 메모리 분야에서 중국의 추격이 본격화되고, 미국은 반도체 동맹을 통해 자국 중심의 공급망을 구축 중이며, 대만은 TSMC를 앞세워 파운드리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과연 한국은 현재의 우위를 지켜낼 수 있을까요?이번 포스팅에서는 KIEP(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한국 메모리 및 시스템 반도체의 글로벌 경쟁력 분석」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국 반도체 산업의 현황과 과제를 깊이 있게 정리해 드립니다.1. 수출 흑자? 겉보기와 다른 공급망 리스크2024년 기준 한국은 반도체 수출 1,803억 달러, 수입 1,206억 달러로 무역흑자 597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19년 이후 최대치로.. 공감수 1 댓글수 0 2025. 4. 13.
  • 라틴 아메리카, 실시간 결제로 세계 금융을 바꾸다? 2025년 4월 현재, 라틴 아메리카는 실시간 결제 시스템과 국경 간 결제 혁신을 통해 세계 결제 시장의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J.P. Morgan의 리포트 「Payments Without Borders in Latin America」는 이 지역의 디지털 결제 인프라가 금융 포용성, 무역 효율성, 글로벌 연결성 측면에서 어떤 진전을 보이고 있는지를 상세히 분석하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브라질의 Pix부터 Nexus 프로젝트, 핀테크 생태계, 국가별 전략까지 라틴 아메리카의 결제 혁신 흐름을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1. 디지털 결제의 중심으로 떠오른 라틴 아메리카실시간 결제와 국경 간 결제 시스템 확산 중기술 혁신 + 핀테크 확장 → 전통 금융 접근성의 한계 극복금융 포용성과 지역 경제 통합..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4. 12.
  • 2025년 약세장은 기회일까? 골드만삭스가 말하는 하락장 속 투자 전략 2025년 4월 현재, 글로벌 주식시장은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이후 본격적인 약세장 국면에 진입했습니다. MSCI World 지수는 20% 이상 하락하며 공식 ‘Bear Market(약세장)’ 기준을 넘나들고 있고, 투자자들은 반등 가능성과 더불어 “이번 하락장이 어떤 성격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Goldman Sachs는 최신 리서치 리포트 「Are Bear Markets in Stocks an Investment Opportunity?」에서 역사적 분석과 데이터 기반의 구분을 통해 현재 상황을 냉정히 진단하며, 투자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습니다.1. 현재 약세장의 배경: 단기 반등? 지속 하락?트럼프 대통령의 90일 관세 유예 조치 이후 단기 반등 발생하지만 Gol..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4. 12.
  • 트럼프 2기 정책, 한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서론2025년 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취임과 함께 미국 정책 기조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어요.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America First”를 다시 꺼내들며, 통상·조세·에너지·국내개혁 전반에 걸쳐 전환적 조치를 단행하고 있어요.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이 발간한 『정책분석 25-01호』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변화는 단순한 정권 교체를 넘어 '정책적 리셋'으로 평가되고 있답니다. 이번 글에서는 트럼프 정부의 주요 정책을 분야별로 살펴보고, 한국에 주는 시사점과 실질적인 대응 방향을 정리해볼게요.1. 통상과 관세: 관세는 더 이상 경제정책이 아니다트럼프 정부는 관세를 외교와 안보의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어요.멕시코, 캐나다, 중국 등을 대상으로 불법이민·안보 명분을 앞세운 관세 부과기존 $80.. 공감수 2 댓글수 1 2025. 4. 8.
  • AI는 불평등을 줄일까, 심화시킬까? IMF 보고서가 답했다 AI 시대, 더 나은 사회로 갈 수 있을까요?IMF의 최신 워킹페이퍼 「AI Adoption and Inequality (2025)」는 인공지능(AI)의 도입이 임금 불평등과 자산 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한 계량모형으로 분석했어요.자동화가 저임금층을 위협했던 것과 달리, AI는 고임금 직무를 대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임금 격차를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 이면엔 더 큰 그림이 있어요.1. AI는 임금 불평등을 줄이지만, 자산 불평등은?임금 지니계수: 1.73%p 하락 (불평등 ↓)부의 지니계수: 7.18%p 상승 (불평등 ↑)생산성 증가: +10.6%즉, 고임금 일자리의 대체로 임금격차는 줄지만, AI로 수혜를 보는 자본가층의 자산가치 상승이 부의 격차를 훨씬 더 확대시킨다는 결론이에요.2.. 공감수 2 댓글수 0 2025. 4. 7.
  • 2025 스타트업 투자, 정말 위기일까요? - J.P.모건 보고서 분석 2025년 상반기, J.P.모건과 CB Insights는 ‘Banking Startup Insights Report’를 통해 스타트업 생태계의 현실을 직시했습니다. 창업자는 졸업률 하락에 좌절하고, 투자자는 불확실성 속에서 관망하고, 정부는 방산기술을 앞세워 개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해당 보고서 내용을 바탕으로, 현장의 목소리와 구조적 해석을 함께 전달해 드릴게요.1. 시드→시리즈A 전환율, 왜 이렇게 낮아졌을까?스타트업의 '졸업률'이라 불리는 시드→시리즈A 전환율은 투자 환경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2022년 이후 모든 섹터에서 하락세가 뚜렷합니다.AI: 40% → 11%Climate Tech: 47% → 11%Fintech: 40% → 9%특히 팬데믹 특수를 누렸던 2021년.. 공감수 1 댓글수 0 2025. 4. 5.
  • AI 인프라 투자는 과잉일까, 선견지명일까? 2025년 4월 Goldman Sachs Global Institute는 중요한 물음을 제기했습니다. 전 세계 빅테크들이 수백조 원을 AI 인프라에 쏟아붓고 있는 지금, 이 투자가 과잉인지 아니면 AI 에이전트 시대를 향한 전략적 선제 투자인지 분석한 보고서 “A Generational Infrastructure Buildout Might Hinge on AI Agents”를 통해 그 힌트를 제시했는데요. 오늘은 그 내용을 기반으로 구조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1. AI 인프라, 지금 투자가 너무 빠른 걸까?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메타 4대 기업의 2025년 예상 AI 인프라 투자 금액은 무려 $3,150억. 그런데 반대로 AI 실행 비용(inference cost)은 급격히 떨어지고 있죠.Op.. 공감수 3 댓글수 1 2025. 4. 5.
  • 미국 관세 인상, 내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서론2025년 들어 미국 증시는 큰 변동을 겪고 있어요.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와 경기 둔화 우려가 겹쳤기 때문이에요.S&P500 지수는 10% 넘게 하락하며 투자자들을 긴장하게 했어요.그럼에도 많은 초보 투자자분들이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 하고 궁금해하시죠.오늘은 Goldman Sachs의 최신 보고서를 바탕으로 미국 관세 인상 환경에서의 투자 전략을 초보자 눈높이에 맞게 알려드릴게요.1. 미국 증시 하락, 왜 발생했을까요?Goldman Sachs는 증시 하락의 원인을 3가지로 분석했어요.심리 사이클: 미국 투자자들이 지나치게 낙관적이었어요.경기 사이클: 경제지표 둔화와 관세 정책이 영향을 줬어요.구조적 사이클: 기술주 쏠림과 가계의 주식 비중 증가 때문이에요.특히, 대형 기술주(Mag.. 공감수 3 댓글수 0 2025. 4. 3.
  • AI 산업, 왜 한국만 투자 부족할까? 초보 투자자를 위한 해설 서론AI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이에요.하지만 국내 AI 산업은 투자가 부족해 성장 정체를 겪고 있어요.오늘은 AI 산업의 투자 현황과 자본시장의 역할을 쉽게 풀어볼게요.1. AI 산업, 글로벌과 한국의 현황금융브리프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30% 성장할 것으로 전망돼요.미국 빅테크는 AI를 미래 먹거리로 보고 적극 투자 중이에요.한국은 AI 빅테크(GDP 기여 0.3%)가 글로벌 대비 투자도, 비중도 낮아요.S&P500 내 미국 빅테크 비중은 34%, 국내는 6%에 불과해요.AI는 이제 금융 산업에서도 필수로 활용돼요. 사기 탐지부터 대출 심사, 고객상담까지 빠르게 퍼지고 있어요.2. 초보자를 위한 쉬운 해석AI 산업은 초기 자본집약형 산업이에요. 쉽게 말하.. 공감수 2 댓글수 0 2025. 4. 2.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