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머니톡톡 인사이트
검색하기

블로그 홈

머니톡톡 인사이트

moneytoktalk.tistory.com/m

초보 투자자를 위한 금융·경제 정보를 공신력 있게 쉽게 풀어주는 인사이트 블로그

구독자
2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머니톡톡 인사이트 | 카테고리별 콘텐⋯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은행 시스템도 ‘조립형’으로 바뀐다 은행 시스템도 ‘조립형’으로 바뀐다2025년 4월, J.P. Morgan이 발표한 전략 리포트에 따르면 금융 산업은 이제 '모놀리식(일체형)' 시스템을 벗어나 ‘조립형 플랫폼’으로 진화 중입니다. 바로 MACH 원칙(Microservices, API-first, Cloud-native, Headless)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은행 구조 때문입니다.MACH 원칙이란?M: Microservices – 기능별 모듈 분리로 유연한 업데이트 가능A: API-first – 모든 기능이 API로 연결되어 핀테크·외부 시스템과 연동 용이C: Cloud-native – 클라우드 기반 구축으로 비용 절감 + 속도 향상H: Headless – 프론트와 백엔드 분리로 고객 맞춤 UI 구현 가능왜 J.P. Morgan은 MAC..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4. 19.
  • 중국의 디지털 금융 포용이 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은? 최근 중국의 경제 발전과 함께 디지털 금융 포용이 소득 불평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요. 이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그 효과와 시사점을 살펴보겠습니다.디지털 금융 포용이란?디지털 금융 포용은 인터넷과 모바일 기술을 활용하여 금융 서비스를 보다 광범위하게 제공하는 것을 의미해요. 이를 통해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에서 소외되었던 계층도 금융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되죠.연구 목적 및 배경이번 연구는 중국에서 디지털 금융 포용이 소득 불평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거시 및 미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했어요. 주요 질문은 다음과 같아요:디지털 금융 포용이 전국적 및 지역적 소득 불평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어떤 소득 유형(노동, 사업, 이전소득)에서 그 효과가 두드러지는가?계층별.. 공감수 1 댓글수 0 2025. 4. 7.
  • 디지털 금융혁신, 프라이버시 기술(PT)은 얼마나 효과적일까? - IMF 2025 분석 서론IMF가 최근 발간한 2025년 3월 Working Paper에서 디지털 경제와 개인정보 보호의 긴장 관계를 심층 분석했어요.저도 이 보고서를 읽으면서 "개인정보 보호 기술(PT)이 정말 금융 혁신에 도움이 될까?" 하는 고민을 하게 됐는데요.오늘은 IMF 보고서를 바탕으로, 디지털 금융 환경에서 PT가 왜 중요한지, 어떤 장점과 한계를 가지는지, 그리고 금융감독기관의 입장까지 쉽고 자세하게 풀어드릴게요.1. 디지털 경제와 개인정보 보호, 왜 긴장할까?디지털 경제가 발전하면서, 기업과 금융기관은 Big Data를 적극 활용하고 있어요.맞춤형 금융 서비스, 신용평가, 사기탐지까지 대부분 데이터 분석이 핵심이죠.하지만 문제는 개인정보 보호에 있어요.과도한 데이터 수집 → 신뢰 하락유출, 해킹, 프로파일링.. 공감수 2 댓글수 0 2025. 4. 4.
  • 유동성과 환율, 정말 희생양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서론환율은 초보 투자자에게도 늘 궁금한 변수입니다.특히, 유동성과 환율의 관계는 정확히 이해하기 어려운 주제입니다.오늘은 ‘희생양 이론’을 통해 한국 환율의 변동성을 살펴보려 합니다.1. 희생양 이론과 환율의 기본 개념연구자는 먼저 희생양 이론(Scapegoat Theory)을 설명합니다.희생양 이론은 불확실한 환율 변동을, 관찰 가능한 다른 변수로 설명하는 방식입니다.여기서 ‘유동성’은 그 주요 변수로 작용하는데요.환율 변동이 관찰 불가능할 때 → 유동성을 원인으로 해석유동성 효과는 위기나 불확실성 상황에서 강해짐2. 한국 사례에 적용된 희생양 이론연구자는 한국의 실제 데이터를 분석합니다.2006년~2023년 자료를 활용했어요.한미 국채 유동성 차이와 환율의 관계를 집중 분석했답니다.위기시(글로벌 금융.. 공감수 1 댓글수 0 2025. 4. 3.
  • 2024년 주택도시기금, 어디에 어떻게 쓰일까요? 서론주택도시기금, 들어는 봤지만 정확히 어떻게 쓰이는지 모르겠다는 분 많으시죠?2024년도 주택도시기금 업무편람이 발표되어, 운용 내용과 재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어요.이번 글에서는 초보 투자자와 실수요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1. 주택도시기금, 왜 만들어졌을까요?주택도시기금은 1981년에 국민주택기금으로 처음 만들어졌어요.대도시의 심각한 주택난과 무주택 서민 지원을 위해 시작됐고요.2015년부터는 주택도시기금으로 이름이 바뀌고, 임대주택, 도시재생, 주거복지까지 지원 범위가 넓어졌어요.2. 주택도시기금은 누가 어떻게 관리할까요?국토교통부 장관이 총괄HUG(주택도시보증공사)가 운용9개 은행이 수탁기관 (우리, 국민, 기업, 농협, 신한, 하나, 부산, 대구, 경남은행)국토부는 정책을 .. 공감수 2 댓글수 1 2025. 4. 1.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