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인사이트/글로벌 경제 브리핑

정책 불확실성, 진짜 얼마나 위험할까? 투자·고용·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머니톡톡. 2025. 4. 12. 03:00

2025년 4월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재정 불확실성이 커지며 미국 정책 불확실성 지수(Policy Uncertainty Index)는 무역전쟁 당시 정점을 넘어섰습니다. Goldman Sachs의 최신 리서치 「The Impact of Uncertainty on Investment, Hiring, and Consumer Spending」는 이 불확실성이 기업의 투자(Capex), 고용 창출, 소비 심리에 어떤 정량적 충격을 주는지 계량 모델을 통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보고서 내용을 바탕으로 실물경제에 미치는 구조적 하방 압력과 향후 정책 시사점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1. 불확실성 지수, 2019 무역전쟁 당시 고점 초과

  • 트럼프의 ‘상호주의 관세’ 재개, 재정·의료·이민 등 정책 방향 미확정
  • 정책 불확실성 지수 + 무역정책 불확실성 지수 모두 2018~19년 고점 초과
  • 무역 비노출 산업까지 전방위적 영향

불확실성은 이제 특정 산업의 문제가 아니라, ‘전체 경제의 기대 경로를 바꾸는 변수’로 작용 중입니다.

2. 투자(Capex), 얼마나 줄어드나?

① 총 효과 추정

  • 불확실성 상승 → Capex 증가율에 -5%p 하방 압력
  • Goldman은 2025년 기업투자 증가율 전망을 ‘제로’로 조정
  • Quantile Regression 기준 → Capex 감소 확률 45%

② 산업별 민감도

  • 자본집약 산업: 전자, 화학, 기계, 석유화학 등 투자 타격 큼
  • 이유: 감가상각 기간이 길고 수요 불확실성에 취약

③ 금융여건과의 결합효과

  • 금융긴축(Financial Conditions Index) 악화 + 정책 불확실성 → Capex 성장률 -4%p
  • 이 중 FCI 영향이 75%, 정책 불확실성 영향이 25%

즉, 정책 불확실성은 단독 요인보다 ‘금융 스트레스 증폭기’ 역할을 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3. 고용, 어디서 얼마나 줄어드나?

① 직접 영향

  • 무역정책 불확실성 → 제조업 고용 월 -2만명
  • 연방 지출 감축 → 연방정부 -2.5~3만명, 지방정부·의료·교육 -3.5만명

② 총합 전망

  • 기타 요인(팬데믹 보충고용 종료 등) 포함 시 → 월간 신규 고용 10만명 수준으로 둔화

이는 팬데믹 이후 회복세가 ‘정책 불확실성’이라는 구조적 요인 앞에서 다시 위축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4. 소비, 3중 하방 압력에 직면

① 하방 요인 정리

  • 고용 증가 둔화: 소득 정체 → 소비 여력 감소
  • 관세: 수입물가 상승 → 실질소득 감소
  • 소비심리 위축: 불확실성 + 실직 우려 → 저축률 증가

② 부의효과 역전

  • 주식시장 조정으로 부의효과가 +0.25~0.5ppt → -0.25ppt로 전환

즉, 실질 소비 위축은 지출 감소만이 아니라 ‘심리적 절약 모드’ 전환에서 더 크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5. 선행 추적지표와 정책 시사점

Goldman은 불확실성 영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고급 선행지표 세트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분야 추천 추적 지표
투자 Fed 지역별 Capex 기대지수, 기업 어닝콜 언급
고용 Atlanta Fed 고용불확실성 지수, 산업별 Payroll 데이터
소비 UMich 소비자 불안정성 지수, Adobe·Redbook 지표

이들 지표는 단기 매크로 예측뿐 아니라, 정책 대응 타이밍 판단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맺음말

2025년의 정책 불확실성은 과거보다 넓고 깊습니다. Goldman은 이번 국면에서 기업투자는 연간 -5ppt, 고용은 월간 -6~7만명, 소비는 부의효과 역전이라는 구체적 수치로 하방 압력을 제시하며, 이 불확실성이 금융시장 뿐 아니라 실물경제를 직접 흔들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이제는 뉴스가 아니라 숫자를 보고, 정책의 불확실성을 실질적으로 관리해야 할 시점입니다.

한 줄 요약: 정책 불확실성, 주가만 흔드는 게 아니다… 투자·고용·소비까지 실물경제 흔든다

한 줄 조언: 불확실성의 핵심은 ‘영향력’보다 ‘지속성’입니다. 리스크를 미리 수치로 추적하세요.

#정책불확실성 #골드만삭스리포트 #투자위축 #고용감소 #소비심리 #Capex전망 #FCI지수 #미국경제전망 #금융긴축 #머니톡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