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가 암호화폐에 미친 영향은? BTC가 다시 ‘디지털 금’이 되는 이유
서론: 암호화폐 시장, 예측 못한 외생 변수에 흔들리다
- 2025년 4월 초, 트럼프 전 대통령의 ‘해방의 날(Liberation Day)’ 관세 정책이 발표되었어요.
- 그 여파로 글로벌 금융시장은 일제히 흔들렸고, 암호화폐도 예외는 아니었죠.
- 이번 글에서는 CoinMarketCap의 최신 리포트를 바탕으로, 시장의 흐름과 대응 전략을 분석해보려 해요.
이번 주는 단순 가격 조정보다 더 복잡한 내러티브가 작동한 주간이었고, ‘비거시 정책 변수’가 크립토 시장을 어떻게 흔들었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드릴게요.
1. 요약: 비트코인도 이더리움도 동시에 하락
트럼프의 대규모 관세 선언 이후,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2.95조에서 $2.758조로 6.5% 가까이 급감했어요.
- 비트코인 -4.21%, 이더리움은 -8.75% 하락
- S&P500과 NASDAQ도 각각 5% 넘게 하락
- 하루 만에 5억 달러 이상 청산 → 대부분 롱 포지션
이처럼 암호화폐와 전통 자산이 동시에 하락하는 경우는 드물어요. 이건 그만큼 시장에 ‘정책 충격’이 컸다는 걸 보여주는 신호예요.
2. 해석: ‘모두에게 관세’가 만든 공포 심리
트럼프의 관세 선언은 총 185개국을 대상으로 했고, 중국엔 67%, 대만엔 32%라는 수준의 상호관세를 부과했어요.
- 무역규모 축소 예상: 글로벌 GDP의 1% 수준
- 투자자들은 초기엔 ‘허세’로 인식했지만, 실제 이행이 이어지며 신뢰가 무너짐
- 자동차 부품 추가 관세도 예고되어 있어, ‘공포 매도’가 현실화된 셈이에요.
정책이 일회성이 아니라 연쇄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공포가 시장을 뒤덮었고, 그게 암호화폐 투자자들의 탈출 신호로 작용했어요.
3. 의견: 이 와중에도 비트코인은 올라갔다?
놀라운 점은 이 와중에도 비트코인의 시장 점유율(dominance)이 61.07% → 62.85%로 증가했다는 사실이에요.
- 이건 사람들이 “디지털 금” 역할을 BTC에 다시 부여하고 있다는 걸 의미해요.
- Tether는 1분기에 8,888 BTC를 추가 매입했고,
- MicroStrategy는 약 19.2억 달러 규모의 BTC를 매수했죠.
금 기반 토큰(PAXG, XAUT)도 주간 수익률이 상승하면서, 실물 금 + 디지털 금(BTC)의 동반 랠리가 나타났어요. 정책 불확실성이 생기면 가장 먼저 찾는 건 역시 안전자산이에요.
4. 인사이트: 밈코인은 ‘사건’ 하나로 무너졌다
이번 주 밈코인 시장은 사실상 붕괴 수준이었어요.
- AI 밈코인(ACT) 청산 → 밈코인 시장 전체가 하루 만에 -50%
- 바이낸스의 레버리지 제한 조치 → 도미노 청산 유발
이건 투자자가 밈코인을 단기 레버리지 게임으로 보고 있었고, “레버리지를 빼버리자 구조가 무너진 것”을 보여줘요.
다른 한편으로는 EOS, Pendle, Compound 등 기초 펀더멘털이 있는 프로젝트들은 시장 약세 속에서도 선전했어요. 이건 리스크 회피성 자금이 알트 중에서도 질 높은 토큰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신호로도 볼 수 있어요.
5. 프로젝트와 펀딩의 지속성: 시장이 무너져도 돈은 흐른다
시장 전체가 하락했지만, 펀딩은 계속 이어지고 있어요.
- Warlock: $8M 시드 유치
- Ambient (PoW 기반 AI): $7.2M
- Ultra (GameFi): $12M
또한 Frax Finance는 Solana 체인으로 확장했고, Ostium은 주식·외환까지 다루는 통합 DEX를 출시했어요.
이건 투자자들이 ‘실제 기술, 실제 유저’를 보유한 프로젝트엔 여전히 자금을 밀어 넣고 있다는 뜻이에요.
6. 에어드랍은 계속된다: INIT, EDGE, PUMP
이번 주도 다양한 에어드랍이 있었어요.
- INIT: 초기 사용자 대상 / 공급량의 5%
- EDGE: 하이퍼리퀴드, Jupiter 경험자 대상 16%
- PUMP: BTC 디파이 기반 / 청구 기간 30일
에어드랍은 단순한 이벤트가 아니라, 사용자 락인과 네트워크 활성화 전략으로서 여전히 유효한 도구라는 걸 보여줘요.
한 줄 요약
트럼프의 대규모 관세 조치는 암호화폐 시장에 단기 충격을 줬지만, 비트코인·금 기반 자산은 오히려 회복력을 보이며 기관 투자자 유입을 재개했습니다.
한 줄 의견
이번 시장 조정은 약한 자산을 걸러내는 필터였고, BTC 중심의 리밸런싱과 레버리지 조정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해시태그
#트럼프관세정책 #암호화폐시황 #BTC도미넌스 #밈코인붕괴 #에어드랍전략 #DeFi펀딩현황 #금토큰투자 #레버리지청산 #시장공포심리 #CMC마켓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