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인사이트/글로벌 경제 브리핑

일본 정부부채, 정말 위험할까? - St. Louis Fed 보고서 분석

머니톡톡. 2025. 4. 4. 23:00

서론

많은 분들이 일본 하면 '세계 최고 수준의 부채국'이라는 이미지를 떠올려요. 실제로 일본의 정부부채는 2023년 기준 GDP 대비 195%로, 선진국 중에서도 단연 높은 편이랍니다. 그런데 이번에 St. Louis Fed가 발표한 보고서는 조금 다른 시각을 보여주고 있어요. 단순히 수치만 보고 일본의 재정위험을 판단하는 건 섣부를 수 있다고 말하거든요. 오늘은 보고서 내용을 바탕으로 일본 정부부채의 구조를 낱낱이 살펴볼게요.

1. 일본 부채 누적의 구조적 배경

  • 고령화 - 일본은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어요. 2024년 현재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이 무려 30.2%에 달해요. 2045년에는 36%를 넘을 것으로 보여요. 출산율 저하와 생산성 정체가 맞물리면서 자연스럽게 경제성장률이 낮아졌어요.
  • 사회보장적자 악화 - 사회보장 관련 지출이 계속해서 불어나고 있어요. 2023년 기준 GDP 대비 -7.6%의 적자를 기록했어요. 연금 개혁이나 의료비 절감 등 여러 정책이 있었지만, 부족한 상황이에요.
  • 재정적자 만성화 - 1998년 이후 일본은 평균적으로 GDP 대비 -5%대의 기초재정수지 적자를 보여왔어요. 세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균형을 맞추지 못했어요.

2. 일본 정부의 선택 - 채권과 펀드

일본 정부는 재정적자를 메우기 위해 주로 채권발행을 선택했어요. 다만 흥미로운 점은, 사회보장기금을 적자 보전에 쓰지 않고 오히려 투자수단으로 활용했다는 점이에요.

  • 사회보장기금 규모는 1997년 GDP 대비 36%에서 2023년에는 60%로 확대.
  • 주식, 해외채권 같은 고수익 자산으로 운용 중.
  • 정부는 채권발행으로 적자를 메우고, 사회보장기금은 수익성 높은 자산 투자로 운용.

3. 단순 부채비율은 함정

우리가 흔히 보는 일본의 부채비율은 195% 수준이에요. 그런데 공공부문 전체의 순부채(Net Liability)를 보면 이야기가 달라져요.

  • 총부채: GDP 대비 270%
  • 총자산: GDP 대비 192%
  • 순부채: 78% 수준

즉, 일본 정부는 단순히 부채만 많은 게 아니라, 막대한 자산도 보유하고 있다는 뜻이에요. 특히 공공펀드, 우정저축, BOJ 보유자산 등이 포함돼요.

4. 일본 부채의 특징

  • 내부 조달 중심 - 일본 국채의 대부분이 국내 금융기관, 보험사, 연금기금이 보유해요. 외국인 보유 비중은 10% 미만이에요.
  • 자산 수익률 > 조달금리 - 일본 정부의 자산 수익률이 조달비용(채권금리)보다 높은 상황이 유지 중이에요. 최근 10년 평균으로 GDP 대비 연 6%의 순수익이 발생했어요.

이 때문에 일본은 부채가 많지만, 채무지속가능성에는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편이에요.

5. 정책적 시사점

  • 단순히 부채비율만 보고 재정위험을 판단하면 곤란해요.
  • 자산-부채를 함께 고려하는 통합재정 분석이 중요해요.
  • 재정건전성 판단시, 정부가 보유한 수익자산 구조와 조달금리를 반드시 함께 봐야 해요.

보고서는 일본 사례가 향후 고령화가 진행되는 선진국들에게 좋은 참고가 될 수 있다고 말해요.

6. 블로그 운영자의 생각

저는 개인적으로 일본이 부채에 비해 너무 비관적으로만 평가받는 게 안타깝다고 느꼈어요. 물론, 장기적으로 고령화, 저성장 문제는 큰 도전이 맞아요. 하지만 정부가 적극적으로 자산을 운용하고, 내수 기반으로 자금을 조달한다는 점에서 재정위기 가능성은 과장된 부분도 분명 존재한다고 생각해요.

7. 실생활 인사이트

  • 일본국채(JGB) 투자는 여전히 글로벌 금융기관에게 중요한 투자대상이에요.
  • 향후 한국, 유럽도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일본과 유사한 재정 이슈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아요.
  • 부채만 볼 것이 아니라, 정부의 자산, 펀드 운용, 재정구조를 함께 봐야 해요.

한 줄 요약

일본의 부채비율, 숫자만으로 판단하면 오산! 자산-부채 통합으로 재정건전성을 평가해야 해요.

한 줄 의견

저는 일본 사례가 향후 고령화 국가들이 배울 만한 중요한 사례라고 생각해요.

해시태그

#일본정부부채 #고령화사회 #재정정책 #국가부채 #재정건전성 #StLouisFed #사회보장적자 #국채시장 #경제블로그 #머니톡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