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인사이트/글로벌 경제 브리핑

변동성 폭발 속 기회는 어디에? 골드만삭스의 전략 분석

머니톡톡. 2025. 4. 14. 03:00

인플레이션은 오르고, 경기는 식고… 시장은 혼란 그 자체입니다. 하지만 골드만삭스는 이 불확실성 속에서도 분명한 투자 기회를 찾고 있습니다.

2025년 4월 10일, Goldman Sachs의 팟캐스트 〈The Markets〉에서 Chief Strategy Officer Josh Schiffrin은 지금의 글로벌 시장을 “위험과 기회가 동시에 확대된 환경”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관세, 금리, 달러, 유동성, 변동성… 다양한 이슈가 뒤엉킨 시장에서 그는 어떤 전략을 제시했을까요? 오늘은 그 핵심 내용을 머니톡톡 인사이트로 정리합니다.

인플레이션 + 성장 둔화, 시장은 이중 충격

미국의 대규모 관세 조치. 이것 하나로 시장은 급격히 흔들렸습니다. Josh Schiffrin은 이를 “이중 충격”이라고 진단했는데요. 공급망 부담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하는 동시에, 무역 둔화가 경기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는 다만, 이 충격이 장기 침체가 아닌 “짧고 날카로운 둔화 후 회복”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국채 시장의 스티프닝, 리스크 프리미엄 재정립

관세 뉴스가 나온 후, 주식과 채권이 동시에 하락했습니다. 이례적인 움직임이죠. 특히 장기 국채 금리는 상승하고 커브는 스티프닝. Josh는 이를 “리스크 프리미엄이 재조정되는 과정”으로 해석했습니다. 연준이 쉽게 금리를 내릴 수 없는 상황에서, 무역 리스크가 안전자산 선호를 약화시키고 있다는 뜻입니다.

유동성 위기? 구조적 불안 vs. 일시적 경색

일부에서는 국채 유동성 경색이 “코로나급 공포”로 확대될 거란 우려도 있었죠. 하지만 Josh는 선을 그었습니다. “지금은 구조적 시스템 리스크보다는,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는 분석입니다. 시장 자체의 회복 탄력은 아직 살아 있다는 뜻이죠.

‘변동성 매수’가 통할까? 비선형 시나리오 대비

Josh는 단기적 시장 예측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왜냐면 시장 분포가 “정규분포”가 아니라 “

비정형적 분포

”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에요. 무슨 말이냐면, 상단 시나리오(관세 완화, 감세)는 강한 반등을, 하단 시나리오(무역전쟁, 실적 악화)는 급락을 유발할 수 있다는 거죠. 그러니 변동성 자체에 베팅하거나, 방어적 자산을 늘리는 전략이 필요해 보입니다.

달러는 약세로 구조 전환 중?

달러는 위험자산 하락 시 헷지 수단이었지만, 이제는 그것도 아닙니다. Josh는 달러가 “구조적 약세 국면”에 들어섰다고 봅니다. 미국의 정책 우위가 약화되고, 위험 회피 시에도 달러가 강세를 보이지 않는 현상은 분명한 구조 변화입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다통화 포트폴리오나 비달러 자산을 활용한 전략을 재정비해야 합니다.

Josh가 제시한 자산별 전략 포트폴리오

자산군 전략 근거
주식 약세 구간 매수 (Buy the Dip) 상·하단 극단적 환경 / 장기 회복 가능성
국채 장단기 금리차 확대 전략 리스크 프리미엄 반영, 단기 금리 하단 제한
원유 약세 포지션 성장 둔화 + 물가 억제 의지
달러 약세 전망 정책 신뢰 약화 + 헷지 기능 감소

향후 90일, 정책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

미국은 이번 관세 조치에 대해 90일간의 유예 협상 기간을 두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무역협정 성사 여부와 정책 방향성은 모든 자산군의 흐름을 결정지을 변수입니다. Josh는 이 시기를 “시장 휴식기(cooldown window)”로 활용하라고 제안했죠. 불확실성 제거 이후에 진짜 기회가 온다는 메시지입니다.

정리: 변동성 속 생존 전략 3가지

  • 분산 투자 전략 강화 (통화/자산군/기간)
  • 커브 트레이딩 중심의 금리 대응
  • 방어적 자산 리밸런싱 + 유연한 현금 보유

한 줄 요약: 지금은 방향성이 아닌 생존과 선택의 시기. 정책이 정리되기 전까지는, 변동성에 지치지 않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시장 뉴스에 반응하기보다 구조와 확률을 먼저 보는 훈련, 지금이 바로 그때입니다.

#글로벌시장전망 #골드만삭스전략 #금리커브 #환율분석 #달러전략 #주식매수타이밍 #리스크프리미엄 #관세이슈 #머니톡톡 #경제블로그